
예전에 매수했던 집에 입주를 하고, 인테리어를 전면적으로 했다. 그중에 현관은 집의 얼굴이자 첫인상이라 생각되어 계속 신경쓰던 차였고. 정말 아무것도 없는 상태까지 철거한 후에 고민을 했다. 가족들과 상의해서 적당한 도안을 그렸고 인테리어 업체하고도 공유해서 실물로 만들어내기까진 약간의 수정도 됐다. 이게 그 결과물인데, 가운데 눈높이쯤에 그림을 걸어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인테리어를 끝내놓고 보니 결과물은 잘 나왔는데 막상 무슨 그림을 걸어야 좋을지 막막해 하던 중. 한 달 정도 지나도록 그림 공간을 휑하게 비워놨었다. 그러다 개인적으로 잘 안풀리는 일이 있어서 해바라기 그림을 알아보게 됐다. 원래 미신이나 풍수 같은거 집착하지 않는 성격이지만 왠지 모르게 마음이 끌렸던 해바라기. 사실 처음에 생각했던..
지난 1편에서는 삼성전자의 의료기기사업부 매각 관련 신문기사에 언급된 니프로 (Nipro)의 매출액에 대해서 알아봤었다. http://pjy5457.tistory.com/11 이번 글에서는 매출액 이외에 정보들을 더 알아보려고 한다. 니프로는 일본 업체다. 일본 어디에 있냐 하면, 일본 오사카 지역, 북부에 있다. 한국을 오가는 직항 항공편도 많이 있는 오사카. 하루에 무려 26편이나 있고, 비행시간도 2시간 밖에 안 걸린다. 삼성전자 의료기기사업부가 있는 판교에서 니프로 본사까지 간다면, 공항 대기시간 등 포함해도 당일치기 출장도 가능할 듯. (아주 급하면) 구글 로드뷰로 본 건물은 이렇게 생겼다. 어림잡아도 8~9층은 족히 되어 보인다. 물론 본사 건물이고, 그외 제조라인이나 해외 법인들은 더 있을 ..
벌써 티스토리에 본격적으로 글을 쓴지 10일이 넘었네. 사실 티스토리 계정을 만든지는 한참 됐지만.. 계정을 만들 때에는 여기저기 쪽지 보내서 티스토리 초대해달라고 아둥바둥 하다가, 막상 계정이 생기고 나니 다른 일로 많이 바빠져서 (핑계일지도) 글을 올리지 않은 채로 몇 달이 흘러갔었다. 아직까지 글 몇개 쓰지도 않았지만, 우연히 티스토리에서 제공하는 통계 기능 중, 유입경로를 눌러보고 고민이 생겼다. 음... 왜 다음이랑 카카오만 있는 걸까. 왜 네이버나 구글은 없지...? 나조차도 다음카카오에서 하는 티스토리 유저이지만.. 그래도 검색은 네이버에서 하게 되던데... 궁금해서 이유를 검색해보기로 했다. 검색을 하자마자 나랑 같은 고민이 있던 블로거를 발견. http://hyeonsul01.tistor..
며칠 전에 삼성전자가 의료기기 사업부 중 일부를 매각한다는 뉴스가 보도됐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14&aid=0004096799&sid1=001 제목: 삼성전자, 체외진단 등 의료기기 사업부 일본 니프로에 매각한다 일전에 신성장 동력으로서 자주 언급됐던 사업부라서 기대가 컸는데, (사업부 전부는 아니지만) 매각을 한다니 내 기분도 조금 가라앉았다. 해당 사업부를 인수한다는 니프로社는 어떤 곳인지 궁금해서 조사해봤다. 참고로 위의 신문기사에 언급된 정보는 극히 일부였다. "니프로의 지난해 매출액은 약 3조6000억원이며 이중 의료기기 사업 매출은 2조6200억원 수준이다. 특히 글로벌 혈액투석기 분야 2위, 의약품 분야 ..
통신 관련 부서로 오기로 결정되면서 가장 처음 했던건 5G를 주제로 한 뉴스를 검색해서 읽어보는 것이었다. 기본 지식이 전혀 없던 내가 혼자 읽어서는 별로 도움도 안 됐겠지만, 그런 생각보다도 걱정이 앞섰던 탓인지, 왜인지 그렇게 했었다. 통신 분야 신문기사는 통신사업자 또는 통신장비업체, 국가기관 등의 발표가 주를 이룬다. 5G 세계 최초 상용화, 5G 이동통신 송수신 성공, 5G 정책 수립 등.. 이런 기사들을 보면 상용화 준비 단계를 일컫는 용어가 다양하게 나오는데, 이 글의 제목에 언급된 ①IoT, ②First call, ③Demo, ④Trial, ⑤PoC, ⑥Pilot 등이다. 각각 어떤 기사가 있는지 예문으로서 검색도 해보고, 뜻 풀이와 비교도 해보려 한다. ①IoT 관련 기사 https://..
자율주행과 관련된 용어로 V2X (Vehicle to Everything)라는게 신문기사나 뉴스에 많이 언급된다. V2X는 V2V, V2P, V2I 등 자동차와 통신이 연결되는 것들을 통칭한다. - V2V : Vehicle to Vehicle (자동차와 자동차) - V2P : Vehicle to Pedestrian (자동차와 보행자) - V2I : Vehicle to Infra (자동차와 통신용 인프라) 통신 분야에 있다보니 V2X 관련해서 보다 세부적인 기술용어를 접하게 되는데, 작년에는 WAVE라는 용어가 보고서에 많이 있었고, 올해에는 C-V2X가 많다. 둘다 V2X와 관련된 통신 표준인데 뭐가 다를까? 구글에서 WAVE, C-V2X 키워드로 검색해서, 뉴스기사를 하나 인용해본다. https://w..
(1탄에서 계속...) http://pjy5457.tistory.com/7 Fabless, Foundry 이외에 어떤 반도체 관련 업체가 더 있는지 궁금해서 네이버를 또 검색.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ercurian21&logNo=30041684384&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 원래 이번 블로그에서 목표했던 Fabless, Foundry를 제외하고도 IP, Packaging, IDM 분야가 더 있다. ===================================================================================== IP 업체도 많이 들어봤다. 나는 원래 I..
S/W 용역개발 전문업체와 미팅 시 있었던 대화. "이번에 저희가 반도체 업체를 하나 인수했습니다." "뭐 하는 업체인가요? Fabless?" "네" "그럼 생산은 어디다 주로 맡겨요?" "대만에요." 어렴풋이 반도체 업체를 분류하는 기준에 Fabless가 있다고는 들어봤으나, 대화 내용이 정확히 뭔지는 몰랐다. S/W 업체가 왜 반도체 업체를 인수한건지? Fabless라는건 생산은 다른 곳에 맡겨야만 되는건지? 궁금증만 생길 뿐이었다. 그도 그럴것이, 예전에 의료기기를 했던 나한테 '반도체'라고 하면, 전세계 얼마 되지도 않던 CT의 Photo counting detector 전문업체를 검토했던게 전부였으니까. 이를테면, 반도체 소자를 원기둥 모양으로 양성해야 되는데, 소재가 균일하게 퍼져야 된다는 것..
NMT라고 요약해서 불리기도 한다. 대충 단어들을 조합해서 통신망의 상태 관찰을 쉽게 도와주는 도구 쯤으로 이해했는데, 뭔지 궁금해서 정리해본다. 주요 기능으로는 CM, FM, PM이 있다고도 들었고, 실제 Use cases는 장비 업체가 단독으로 정하는게 아니라 통신사와 협의해서 정해야 된다고도 주워들었다. 이번에 Network monitoring과 CM, PM, FM을 키워드로 검색해본 바, 아래와 같은 도식이 있었다. https://books.google.co.kr/books?id=kX3Z9ss_5P0C&lpg=PA52&ots=D1DnQh_8Jk&dq=network%20monitoring%20cm%20pm%20fm&hl=ko&pg=PA52#v=onepage&q=network%20monitoring%..
회의에서 사람들이 L1, L2, L3라고 말하는걸 자주 듣는다. 그리고 PHY, MAC 등도 마찬가지로 많이 듣는다. 주로 이런 식의 대화가 많았다. "L3에서 이슈 해결이 안되어서 일단 L2 단에서 대응하고 있습니다." "L1 문제인지, L2 문제인지 확인이 안되는데, 일단 L1 소스코드부터 분석해보기로 했습니다." 한번은 이런 일도 있었다. "그 연구원은 뭐 하는 사람이야?" 내가 우물쭈물 하고 있으니 답답했는지, "여기 조직도 보니까 MAC 하는 사람이네" 그렇다. 심지어 조직명이 MAC 부서라고 명명되기도 할 정도다. 통신에 와서 제일 어려웠던게 L1~3 개념과 PHY, MAC 개념이었다. 많이 언급되는데 그에 반해 의미는 전혀 모르고 있었으니. 아직도 완벽히 이해했는지는 모르겠지만. 학습차 검색..
- Total
- Today
- Yesterday
- PHY
- 삼성전자 의료기기
- Packaging
- 종합반도체
- Foundry
- Cellular V2X
- 개념검증
- 삼성전자 매각
- IOT
- Nipro
- DSRC
- L3
- 팹리스
- 일본 니프로
- IVD 매각
- First call
- fabless
- v2x
- 상용 준비
- C-V2X
- 니프로
- 삼성의료기기
- 시범서비스
- 패키징
- 5G V2X
- 의료기기사업부
- 체외진단 매각
- 상호운용성
- 파운드리
- 802.11p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